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78
2178번: 미로 탐색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미로 탐색
문제
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1 | 0 | 1 | 1 | 1 | 1 |
1 | 0 | 1 | 0 | 1 | 0 |
1 | 0 | 1 | 0 | 1 | 1 |
1 | 1 | 1 | 0 | 1 | 1 |
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입력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접근방식
기본적인 BFS 문제라고 할 수 있다.
고려해야할 사항
- 이동할 수 있는 정점이 상,하,좌,우 4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다
이를 위해 (N+2)*(M+2) 배열을 만들어 가장자리의 미로 인덱스 값들을 0으로 설정해주었다.
- 탐색시 사용되는 데이터가 2개의 정수이다.
vector<pair<int, int>>를 이용하여 bfs를 구현하였다.
bfs를 진행하면서 N,M의 자리에 도착할 경우 count한 횟수를 출력하고 종료한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queue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int n,m;
int it[102][102];
int res[102][102];
int v[102][102];
queue<pair<int, int>> q;
void bfs(){
q.push(make_pair(1,1));
v[1][1]=1;
res[1][1]=1;
while(!q.empty()){
int x = q.front().first;
int y = q.front().second;
q.pop();
if(x==n && y==m){
printf("%d\n", res[x][y]);
return ;
}
if(v[x-1][y]==0 && it[x-1][y]==1){
v[x-1][y]=1;
res[x-1][y]=res[x][y]+1;
q.push(make_pair(x-1,y));
}
if(v[x+1][y]==0 && it[x+1][y]==1){
v[x+1][y]=1;
res[x+1][y]=res[x][y]+1;
q.push(make_pair(x+1,y));
}
if(v[x][y+1]==0 && it[x][y+1]==1){
v[x][y+1]=1;
res[x][y+1]=res[x][y]+1;
q.push(make_pair(x,y+1));
}
if(v[x][y-1]==0 && it[x][y-1]==1){
v[x][y-1]=1;
res[x][y-1]=res[x][y]+1;
q.push(make_pair(x,y-1));
}
}
}
int main()
{
cin >> n >> m;
string a[102];
for(int i=0; i<102; i++){
for(int j=0; j<102; j++){
it[i][j]=0;
res[i][j]=0;
v[i][j]=0;
}
}
for(int i=1; i<=n; i++){
cin >> a[i];
}
for(int i=1; i<=n; i++){
for(int j=0; j<m; j++){
it[i][j+1] = a[i][j]-48;
}
}
for(int i=0; i<=n+1; i++){
for(int j=0; j<=m+1; j++){
//printf("%d, %d : %d\n", i, j,it[i][j]);
}
//printf("\n");
}
//printf("input is done\n");
bfs();
return 0;
}
'알고리즘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060번 바이러스 c++ (0) | 2021.07.03 |
---|---|
[백준] 1389번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c++ (0) | 2021.07.02 |
[백준] 1260번 DFS와 BFS c++ (0) | 2021.07.02 |
[백준] 15735번 삼각 c++ (0) | 2021.06.24 |
[백준] 17298번 오큰수 c++ (0) | 2021.06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