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N개의 정수 A[1], A[2], …, A[N]이 주어져 있을 때,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[1], A[2], …, A[N]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M(1 ≤ M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,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. 모든 정수의 범위는 -231 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.
출력
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존재하면 1을,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.
문제접근 및 풀이
1. 배열 A를 오름차순으로 sort 한 후
2. M개의 각 정수에 대해 A배열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이분탐색을 이용해 찾는 방식이다.
1번에서 정렬 시 nlogn, 2번 탐색시 m개의 원소에 대해 이분탐색(logm)이 사용된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n,m;
vector<int> a,b;
int find(int key){
int mid=0;
int start = 0;
int end = a.size()-1;
while(end - start >= 0){
mid = (start+end) / 2;
if(key == a[mid]) return 1;
if(key > a[mid]) start = mid + 1;
if(key < a[mid]) end = mid - 1;
}
return 0;
}
int main()
{
scanf("%d", &n);
for(int x,i=0; i<n; i++){
scanf("%d", &x);
a.push_back(x);
}
scanf("%d", &m);
for(int x,i=0; i<m; i++){
scanf("%d", &x);
b.push_back(x);
}
sort(a.begin(), a.end());
for(int i=0; i<b.size(); i++){
if(find(b[i])){
printf("1\n");
}else{
printf("0\n");
}
}
return 0;
}
'알고리즘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9012번 괄호 c++ (0) | 2022.02.06 |
---|---|
[백준] 2609번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c++ (0) | 2022.02.05 |
[백준] 1259번 팰린드롬수 c++ (0) | 2022.02.04 |
[백준] 2475번 검증수 c++ (0) | 2022.02.04 |
[백준] 1074번 Z c++ (0) | 2022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