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STS#Git#Github#maven#Tomcat

 

sts를 통해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

 

1. 자바 설치

JDK 8 이상https://www.oracle.com/java/technologies/javase-jdk14-downloads.html

 

2. maven3 이상 설치

http://maven.apache.org/download.cgi

 

3. tomcat 8.5 설치

https://tomcat.apache.org/download-80.cgi

 

4. sts 설치

https://spring.io/tools

 

각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

 

이 글에 서는 Dynamic Web Project를 생성하여 github에 연동하는 작업을 다룰 것이다.

 

sts에 들어가서

file->new->Dynamic Web Project를 통해 프로젝트 하나를 생성한다.

 

 

 

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 후 finish를 누른다.

 

 

그럼 다음사진처럼 다이나믹 웹 프로젝트하나가 생성된다.

 

 

이 프로젝트를 maven프로젝트로 하기 위해 오른쪽 클릭하여

Config->Convert to Maven project로 해준다.

 

 

이 프로젝트에서 실질적으로 html이나 jsp파일을 만들어서 올릴 위치는

webContent라는 디렉토리이다.

다음과 같이 JSP파일을 하나 생성하여 테스트 해보자.

 

 

테스트 하기 전에 tomcat을 사용하기위해 tomcat라이브러리를 추가하여야 한다.

Project -> Properties로 들어가서

 

 

Java Build Path에서 Libraries -> Add Library에서 Server Runtime을 선택한 후 Next.

 

 

설치된 Apach Tomcat v8.5을 선택한다.

 

 

이렇게 모든 세팅작업은 완료되었고 아까 생성한 JSP파일을 실행해보자.

테스트를 위해 JSP파일에서 안녕하세요!라는 내용을 넣어두었다.

 

 

해당 프로젝트 오른쪽 클릭에서 Run As -> Run on Server를 통해 실행한다.

 

 

Tomcat 서버를 선택한 후 finish.

대표사진 삭제
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
그러면 다음과 같이 웹 브라우저 창이 뜨게 된다.

참고로 sts에서 뜨는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익스플로우다.

 

 

 

 


 

GitHub연동과정.

하단의 Git Repositories -> Remote -> create Remote를 통해 원격 저장소를 등록해준다.

 

 

URl: 부분에 github저장소를 연동해야 하므로 Change를 눌어 URL을 입력해준다.

 

 

다음과 같이 URL과 Username, passwd를 입력해준다.

 

이러면 remote 등록은 마쳤으므로 본격적으로 github에 프로젝트를 올려보자.

아래 사진처럼 git Staging 에서 unstaged Changes 에 있는 파일들을 Staged Changes로 드레그 해준다.

그리고 commit massage를 입력한 후 commit 을 입력해주면 끝이다.

 

 

'개발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eb] JSP action tags  (0) 2021.06.17
[web] JSP directives  (0) 2021.06.17
[web] Javascript Timing 시간관련 함수  (0) 2021.06.17
[web] Javascript form valid check  (0) 2021.06.17
[web] Javascipt 기본 개념 정리  (0) 2021.06.17

+ Recent posts